조회수
131
좋아요
7
댓글
7
프로필렌글리콜, 미생물 발효로는 만들어질 수 없는 물질일까?
어제 화제가 되었던 프로필렌글리콜에 대한 내용에 대해 참...
댓글7
sprogeeks
08.17 20:38
안그래도 오늘 파이오니어커피 정대표님과 관련 이야기 나눴는데, 논의해볼 구석이 매우 많은 분야인것 같습니다. GC-MS 측정을 수많은 곳에서 하실 예정일듯 하여 거대한 논의의 발판이 마련되는 것은 아닌가 싶어요. 모금이라도 해서 장비를 사야하나 싶을 정도입니다.
bpy
08.18 02:16

Propylene glycol 과 Propane diol 모두가 (아마도 C3 diol 일체가)검출될수 있으니 증거가 될수 없다는 주장으로 보입니다.
다만 맥주의 경우 1-2주 단위의 발효 시간을 가지기 때문에 비교적 그 시간이 짧은 커피와 직접 비교는 적절치 않아 보입니다.

C3 diol 의 최종 함유량이 논란의 대상이 된다면 정량 분석 관점에서 같은 생두를 효모등의 첨가물 처리했을때의 수준과 첨가물이 없을때의 수준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해서 비교를 해야하는데 '처리' 자체가 비공개 정보이기 때문에 제한됩니다.

별개로 데이터 자체를 의심하는 분은 없으신듯 해서 한마디 남기자면 GC-MS 데이터 측정은 아주 잘 된 것으로 보입니다 (GC 분리도와 두 c3 diol fragmentation pattern 모두 90 % 이상 true).

아이덴티티랩에서 제시한 실험 샘플에 오염이 없다면, 의뢰하신 비슷한 생두에서도 높은 c3 diol 이 검출될지 매우 궁금합니다. 여러종의 샘플에서 일관적으로 높은 PG 함유량과 trace 수준의 착향료 성분이 검출된다면 믿어주기 쉽지 않겠네요.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가열하지 않은 상온 샘플의 headspace 에서 발견되기에는 bp 188 인 PG 의 강도가 너무 높다는점을 집고 싶었습니다. 물론 샘플 준비를 어떻게 했는지 조금 더 알아야 적확하게 말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프리즘커피웍스
08.18 10:37
@bpy
말씀하신 대로 비슷한 가공을 거친 생두 + 타 농장의 다른 발효 공정 거친 커피를 대조군으로 함께 테스트 해 보려 합니다.

저도 PG의 강도가 너무 높게 나타나 의문을 가지고 있어서 제가 가진 커피들로 테스트 해 본 후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bpy
08.18 16:23
@프리즘커피웍스
긍정적인 피드백 감사합니다. 프리즘 커피웍스 화이팅 ^^.
썬카페
08.19 18:20
@bpy
안녕하세요 라이브를 보지 않아서 ㅎㅎ 몇가지 여쭙고 싶습니다. 카페인과 PG가 비슷한 수준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혹시 관련내용 들으셨나요 ?
개인적으로 분석 농도값까지 표기되었으면 하는 바램이었는데 없네요 ㅠㅠ
ppt를 보고 있지만 라이브가 재업뎃 되길 기다렸다 다시 확인해봐야겠습니다
썬카페
08.19 18:21
안녕하세요. 윌튼씨가 사용하는 효묘 또는 박테리아의 속 또는 종 아시나요 ? 사카로미세스 속 사용하나요 ?
프리즘커피웍스
08.21 08:42
@썬카페
안녕하세요. 주로 사카로미세스 속을 사용합니다. 파스토리아누스와 세레비지애를 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