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ogeeks
2022.08.19
조회수
226
좋아요
6
댓글
9
분쇄입도
그라인더 입도 분석을 위한 SPR(가칭) 분석
그라인더의 퀄리티는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가?
댓글9
김건주
08.20 18:13

예전에 ek43으로 분쇄한 가루로 레이저회절입도분석기 의뢰를 했던적이 있었는데 입도분포와 더불어 surface area 자료도 같이 첨부해주셨습니다.
100um간격으로 계산해보니 <100um 구간의 표면적이 mode 구간을 역전하게 되더라구요.
문의해보니 제 기억으로는 머신으로 측정한건 아니고 입도분포를 표면적으로 환산한거라고 하셨던것 같네요.
그 덕분에 <100um구간의 입자가 상당히 맛에 있어서 유의미하지 않을까 싶어 100um간격으로 입자를 모아 각각 테이스팅한다고 고생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 자료의 신빙성이 있는지 모르겠어서 의문이 남네요.
아시는바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맞다면 그라인딩 퀄리티 분석에 <100um도 포함되어야하지 않을까 싶구요.

sprogeeks
08.20 18:50
@김건주
맞습니다. 표면적, 입자 갯수는 압도적으로 높아서 실제로 <100um 이하의 입자들의 그래프를 표면적과 갯수로만 따지면 >100um 입자들은 그 의미가 퇴색될 정도죠.

문제는 100um 이하의 미분의 생성은 전체적인 입자의 범위에서 본다면 분쇄 균일도라는 관점에서 해석을 난해하게 만드는 기준이 됩니다. 그라인딩 퀄리티를 "unimodal"한 정도로 따져본다면 그라인더가 의도한 특정 입자을 얼마나 잘 만들어내는가?가 핵심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100um 입자와 mode 값 이상의 입자들을 제외하는 아이디어도 분석에 활용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단순히 이 데이터 하나만 가지고 그라인딩의 전체 퀄리티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추출에 기여하는 그라인딩 퀄리티는 도표의 (b)값을 제외하는 것 [(c) + (d)값] 이 말씀대로 더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수하게 그라인더의 Unimodal의 성향과 함께 추출에 효율적인 다양한 지표들을 함께 분석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써주신 내용과 같이 일반적인 PDA 에서는 직경 대 부피 값으로 표면적, 입자수를 Calculation하여 수학적으로 표현해내는 것이 맞습니다. ^^
김건주
08.20 19:47
@sprogeeks
아하 답변 감사드립니다. 해소가 되네요.
확실히 그라인딩 퀄리티만을 보려면 mode값을 참고해야겠네요.
김건주
08.20 20:50
@sprogeeks
입도분포를 추출된 커피 결과물까지 연결시키려면 <100um의 기여도까지 감안해서 bimodal 그래프로 봐야하진 않을까요? 궁금하네요.
sprogeeks
08.20 21:03
@김건주
네 당연합니다 ^^ 그래야 제대로 된 그라인더 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김건주
08.20 22:08
@sprogeeks
답변감사합니다 ^^ 입도분석기를 마음껏 써볼수 있으면 좋으련만 궁금한게 많네요 😅
딴죽걸이
08.21 01:38
확실히 궁금하긴 함 어떤 분쇄 분포 분쇄 입자 이런것이 좋은 분쇄? 좋은 그라인더 일까?
toimage
09.13 17:11
위의 도표를 보면 분쇄 균일도가 가장 좋은것은 “B” 인것이죠? ^^
sprogeeks
09.14 14:45
@toimage
네 전체 입자를 기준으로 (해당 세팅에서) 그래도 가장 커피 추출을 위해 유사한 부피의 입자들이 많이 모여있는 그라인더라고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