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ogeeks
2022.08.16
조회수
283
좋아요
8
댓글
3
안스타 채널에 공유되었던 아이덴티티랩의 프레젠테이션 자료입니다.
*언스페셜티 커뮤니티 관련 자료 링크 : https://community...
댓글3
프리즘커피웍스
08.16 22:48
실제 제가 유통하고 있는 파라이소92 농장의 농장주, 윌튼 베니테즈는 “제품화-규격화 된 프로세싱”을 만들어 스페셜티 커피의 대량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었습니다. 말씀하신 효모 기반 향기성분을 다루는 공법도 어느정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요.

실제 농장의 미생물 랩에도 다양한 종류의 효모(샴페인 효모를 넘어 커피 프로세싱 전용 효모까지 출시되어 있었습니다.) 를 테스트 하고 있던 것으로 보아, 이제는 기후위기로 인해 점점 줄어가는 좋은 커피 생산지를 보완하기
위해 해당 연구가 본격화 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하지만 역시 무엇보다도 양질의 재료가 바탕이 되어야 발효도 견디겠지요. 원 재료의 퀄리티 검증도 슬슬 필요할 때라 보여집니다. 저도 산지와 그 검증 방법에 대해선 논의중입니다.
sprogeeks
08.16 22:54
@프리즘커피웍스
네 일단 가향 논란에서 가장 중요시 여겨야 할 건 "투명성"이 아닌가 싶습니다. 프로세싱 과정이 일종의 대외비 이상의 비밀 프로세스인 셈이니 그 투명성이 어떻게 보장 받아져야 하는지도 애매한 부분이긴 한데 이러한 논의들이 많이 이뤄진다면 바람직한 방향으로 그래도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sprogeeks
08.16 23:10

https://www.instagram.com/p/ChUmjEOJimJ/?utm_source=ig_web_copy_link

리브레 서필훈 대표의 관련 글이 올라왔었군요. 일단 pg 의 근원이 무엇이든 수입처로서 "의심"을 하고 있는 상태이니 앞으로는 다양한 검증의 방법들이 남았네요. 모쪼록 발전적 논의의 시작이 되길 바랍니다.